분류 전체보기120 읍참마속의 뜻과 유래 (가정전투 이야기) 읍참마속은 삼국지에서 유래되었다. 그 중 제갈량과 마속에 얽힌 이야기이다. 이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본다. 읍참마속의 뜻 읍참마속은 ‘눈물을 흘리며 마속을 참한다’는 뜻이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법과 규율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법의 테두리 안에서는 누구나 평등해야 한다. 이 고사 성어는 제갈량의 1차 북벌 중 발생한 가정 전투에서 유래되었다. 읍참마속의 배경이 된 가정 전투에 대한 설명 촉나라의 제갈량은 출사표를 내고 위나라를 침공한다. 이것이 5차까지 이어진 북벌 중 첫 번째 북벌이다. 멀리 떨어진 위나라의 중원까지 쳐들어가려면 가장 중요했던 것이 보급 문제였다. 가정 땅은 촉나라의 군량을 수송하는 중요한 요지였으므로 이곳을 지키는 것이 전쟁을 승리할 수 .. 2021. 7. 31. 권토중래의 뜻과 유래 (초패왕 항우는 해하전투에서 죽음을 맞다.) 사람은 누구나 실패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실패를 딛고 일어날지 주저 앉을지 자신이 결정해야 한다. 초나라 항우의 이야기를 통해 권토중래의 유래를 알아본다. 권토중래의 뜻과 '제오강정' 권토중래를 한자로 풀면 ‘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돌아온다.’는 뜻이다. 전쟁에서 패하고 본진으로 돌아가서 힘을 키우고 재정비하여 다시 전장으로 돌아온다는 말이다. 군대를 재정비하여 강대해진 모습을 수많은 말과 병사가 행군하면서 발생하는 흙먼지에 비유한 것이다. 이 고사 성어는 오늘날에는 어떤 일에 실패하더라도 실패를 교훈 삼아 다시 준비하면 재기에 성공할 수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 고사 성어는 중국 당나라의 시인 두목의 시에서 유래되었다. 두목은 이상은(李商隱)과 더불어 이두(李杜)로 불렸으며 산문과 시가 뛰어났다. 시.. 2021. 7. 31. 관포지교 뜻과 유래 (친구사이에 관한 사자성어) 친구사이에 관한 사자성어중에는 관포지교가 있다. 이 사자성어의 뜻과 유래를 옛 이야기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관포지교의 뜻 관포지교는 친구사이의 깊은 우정을 뜻하는 고사 성어입니다. 인간관계의 중요성과 친구를 사귐에 있어 상대방을 잘 알고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고사 성어입니다. 관포지교의 유래 관포지교는 관중과 포숙아라는 두 인물의 관계를 통해 친구사이의 깊은 우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관중과 포숙아는 춘추시대 사람으로 제나라 사람입니다. 둘은 어릴 적부터 친구였으며, 늘 같이 행동하였습니다. 서로를 그 누구보다 잘 아는 두 사람의 우정에 대한 몇 가지 일화로 서로의 깊은 우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1. 관중과 포숙아는 함께 장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장사를 마치고 생긴 몫을 분배할 때.. 2021. 7. 26. 우공이산 유래와 뜻 (우직한 노력으로 뜻을 이루다.) 고사성어 '우공이산'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공이산의 한자풀이 ● 愚 : 어리석을 (우) ● 公 : 귀인 (공) ● 移 : 옮길 (이) ● 山 : 메 (산) 우공이산의 뜻 우공은 어리석은 사람을 말합니다. 우공이산을 직역하면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긴다'는 뜻입니다. 사람의 힘만으로 커다란 산을 다른 곳에 옮기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는 일입니다. 이처럼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일을 벌이는 사람의 어리석음을 비꼬는 말로 생각되지만 이 고사의 유래를 알고 나면 우공이산의 뜻이 어리석음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우공이산의 유래 우공이산은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참고로 열자는 도가의 사상가입니다. 우공이산의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 2021. 7. 18. 이전 1 ··· 27 28 29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