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0

다양한 연대 표기법 (기원전(B.C), 기원후(A.D), 불기, 단기, 이슬람력) 역사적인 사건이 언제 일어났는지 표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우리는 보통 기원전, 기원후(서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단기, 불기, 이슬람력 , 공통시대 이전, 공통 시대 등의 연대 표기 방식이 있다. 연대를 표기하는 약자들의 뜻은 다음과 같다. 연대 표기법과 약자 뜻 1. 기원전 (B.C.) B.C 는 Before Christ 의 약자이다. 즉, 예수 탄생 이전을 뜻한다. 이것을 한자어로 "기원전" 이라고 표현하였다. 2. 기원후 (A.D.) A.D 는 Anno Domini 의 약자이다. 라틴어로 “in the year of the Loard 주님(그리스도)의 해”라는 뜻이다. 즉, 예수 탄생 이후를 말한다. 한자어로 “기원후” 로 표현된다. 3. 공통시대이전 (B.C.E) 와 공통시대 (C.E.) 최.. 2021. 8. 30.
조선 최고 왕 세종대왕과 찬란한 업적 우리 민족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왕으로 꼽히는 세종에 대해 알아보고 그가 쌓아 올린 업적들을 자세히 알아보자. 세종대왕의 활동과 평가 세종의 본명은 이도이다. 1397년 태종 이방원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1450년 사망하였다. 조선의 네 번째 왕으로 재위 기간은 1418년부터 1450년이다. 조선의 태평성대를 이끌었다. 세종은 정치, 경제,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을 이룩하였다. 제도를 정비하고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이상적인 유교정치를 구현하였다. 훈민정음 창제와 백성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과학기술의 발달을 도모하였다. 세종은 백성을 아끼는 가장 훌륭한 왕이었다. 세종은 집현전 설치를 통해 인재 양성과 학문의 발달에 힘썼고 많은 서적을 편찬하였다. 수많은 학술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연구.. 2021. 8. 30.
태종 이방원의 업적과 주요사건 (조선의 기초를 다지다.) 새로운 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이방원과 그와 관련된 주요사건들을 자세히 알아본다. 이방원과 그의 행적 태종은 조선의 세 번째 왕이다. 본명은 이방원이고 1367년에 태어나 1422년에 생을 마감하였다. 이방원은 아버지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조선 건국의 일등공신이었다. 또 향후 5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조선의 기초를 다진 왕이다. 이방원은 새로운 왕조를 세우는 일에 많은 일조를 했으며 이 후 나라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반대세력을 숙청하고 제도를 개편함으로서 왕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행적은 태종 다음 왕이 되는 세종대왕이 많은 업적을 이루고 태평성대를 이룰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 이방원은 새 왕조의 초창기 많은 공을 세웠지만 정도전과 이성계의 두 번째 부인 강씨 (신덕왕후)에 의해 세.. 2021. 8. 29.
조선 2대왕 정종과 2차 왕자의 난 사건 요약 동생 이방원의 힘에 눌려 왕으로서 실권을 갖지 못했던 정종 (이방과)에 대해 알아보자. 그리고 2차 왕자의 난에 대해서 알아본다. 1차 왕자의 난으로 조선 2대 왕에 오르다. 정종 (이방과)는 이성계의 둘째 아들이다. 아버지를 따라 북방의 전투에 참가하며 많은 공을 세웠고 조선이 건국되고 영안대군이 되었다. 1398년 1차 왕자의 난 이후 태조에게서 왕위를 물려받는다. (1차 왕자의 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에 포스팅한 아래 내용을 참고 바란다.) 태조 이성계와 주요사건 요약 조선을 건국한 조선 1대 왕 태조 이성계와 주요 사건에 대해 알아보자.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게 되는 핵심 과정과 역사적 사건들을 자세하게 알아본다. 이성계는 누구인가? 태조는 조선 1대 왕 storytale.tistory.co.. 2021.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