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0 태조 이성계와 주요사건 요약 조선을 건국한 조선 1대 왕 태조 이성계와 주요 사건에 대해 알아보자.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게 되는 핵심 과정과 역사적 사건들을 자세하게 알아본다. 이성계는 누구인가? 태조는 조선 1대 왕으로 본명은 이성계이다. 1335년에 태어나 1408년 사망하였다. 재위 기간은 1392년부터 1398년이다. 이성계 가계도를 보면 부인은 6명이고 자녀는 8남 5녀를 두었다. 첫째 부인 신의왕후 한 씨에게서 6남 2녀를 두고 신덕왕후 강 씨에게서 2남 1녀, 그리고 화의옹주 김 씨 등에서 2녀를 둔다. (조선 2대 왕 정종은 신덕왕후 강 씨의 둘째 아들이며 3대 왕이 되는 태종 이방원은 다섯째 아들이다.) 태종 이방원의 업적과 주요사건 (조선의 기초를 다지다.) 고려 말기는 내부적으로 권문세족이 득세하면서 왕권이 많.. 2021. 8. 23. 손자가 말하는 오월동주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자. 오월동주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탄다는 뜻입니다. 오나라와 월나라는 하늘 아래 함께 할 수 없는 철천지원수 지간입니다. 이들이 같은 배에 타게 되면 아마도 죽음을 무릅쓰고 싸울 것이 뻔합니다. 하지만 폭풍이 불어 서로 돕지 않으면 배가 뒤집힐 위기에 몰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렇습니다. 같은 배를 탄 두 사람은 공동의 목적을 위해 서로 힘을 합쳐 사지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오월동주는 바로 이러한 상황을 빗대어 사지(죽을지 모르는 곳)에서는 원수지간이라도 힘을 합치게 된다는 뜻입니다. 또 그래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오월동주의 유래 이 고사 성어는 손무가 쓴 손자병법의 ‘구지’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손자병법의 ‘구지’편을 잠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손자.. 2021. 8. 15. 마태효과 뜻과 사례에 대해 알아봅시다. (마태복음 25장 29절에서 유래) 성경 구절에서 유래된 마태효과의 의미와 적용되는 예시를 알아본다. 마태효과의 뜻과 사례 마태효과란 가진 사람은 더 풍족하게 되고 가지지 못한 사람은 더 부족하게 된다는 뜻이다. 이 효과는 미국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에 의해 주장되었다. 로버트 머튼의 주장은 같은 연구 성과를 내고도 유명한 과학자가 무명 과학자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는 현실을 비판하면서 나오게 되었다. 이때 마태복음 25장 29절을 인용한 것이다. 하지만 마태효과는 위와 같은 사례 이외에도 다른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들 수 있다. 돈을 많이 가진 사람은 더 많은 돈을 축적하게 되고 돈이 없는 사람은 더욱더 가난해지게 된다. 부자는 가진 돈과 시간을 투자하여 돈이 돈을 버는 구조를 만들고 계속 부를 .. 2021. 8. 8. 24절기표와 절기별 날짜와 특징 24절기가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고 절기마다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 24절기표를 통해 한 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정리해 본다. 24절기의 개요와 특징 24절기는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간격으로 1년을 24 등분한 것이다. 태양의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한다. 또 여기서 황도란 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이 1년 동안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길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24절기는 1년을 24 등분한 것이다. 먼저 봄, 여름, 가을, 겨울을 크게 춘하추동으로 4 등분하고 난 다음 각 계절을 세부적으로 6 등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봄은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로 나눈다. 여름은.. 2021. 8. 5. 읍참마속의 뜻과 유래 (가정전투 이야기) 읍참마속은 삼국지에서 유래되었다. 그 중 제갈량과 마속에 얽힌 이야기이다. 이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본다. 읍참마속의 뜻 읍참마속은 ‘눈물을 흘리며 마속을 참한다’는 뜻이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법과 규율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법의 테두리 안에서는 누구나 평등해야 한다. 이 고사 성어는 제갈량의 1차 북벌 중 발생한 가정 전투에서 유래되었다. 읍참마속의 배경이 된 가정 전투에 대한 설명 촉나라의 제갈량은 출사표를 내고 위나라를 침공한다. 이것이 5차까지 이어진 북벌 중 첫 번째 북벌이다. 멀리 떨어진 위나라의 중원까지 쳐들어가려면 가장 중요했던 것이 보급 문제였다. 가정 땅은 촉나라의 군량을 수송하는 중요한 요지였으므로 이곳을 지키는 것이 전쟁을 승리할 수 .. 2021. 7. 31. 권토중래의 뜻과 유래 (초패왕 항우는 해하전투에서 죽음을 맞다.) 사람은 누구나 실패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실패를 딛고 일어날지 주저 앉을지 자신이 결정해야 한다. 초나라 항우의 이야기를 통해 권토중래의 유래를 알아본다. 권토중래의 뜻과 '제오강정' 권토중래를 한자로 풀면 ‘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돌아온다.’는 뜻이다. 전쟁에서 패하고 본진으로 돌아가서 힘을 키우고 재정비하여 다시 전장으로 돌아온다는 말이다. 군대를 재정비하여 강대해진 모습을 수많은 말과 병사가 행군하면서 발생하는 흙먼지에 비유한 것이다. 이 고사 성어는 오늘날에는 어떤 일에 실패하더라도 실패를 교훈 삼아 다시 준비하면 재기에 성공할 수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 고사 성어는 중국 당나라의 시인 두목의 시에서 유래되었다. 두목은 이상은(李商隱)과 더불어 이두(李杜)로 불렸으며 산문과 시가 뛰어났다. 시.. 2021. 7. 31. 관포지교 뜻과 유래 (친구사이에 관한 사자성어) 친구사이에 관한 사자성어중에는 관포지교가 있다. 이 사자성어의 뜻과 유래를 옛 이야기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관포지교의 뜻 관포지교는 친구사이의 깊은 우정을 뜻하는 고사 성어입니다. 인간관계의 중요성과 친구를 사귐에 있어 상대방을 잘 알고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고사 성어입니다. 관포지교의 유래 관포지교는 관중과 포숙아라는 두 인물의 관계를 통해 친구사이의 깊은 우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관중과 포숙아는 춘추시대 사람으로 제나라 사람입니다. 둘은 어릴 적부터 친구였으며, 늘 같이 행동하였습니다. 서로를 그 누구보다 잘 아는 두 사람의 우정에 대한 몇 가지 일화로 서로의 깊은 우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1. 관중과 포숙아는 함께 장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장사를 마치고 생긴 몫을 분배할 때.. 2021. 7. 26. 우공이산 유래와 뜻 (우직한 노력으로 뜻을 이루다.) 고사성어 '우공이산'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공이산의 한자풀이 ● 愚 : 어리석을 (우) ● 公 : 귀인 (공) ● 移 : 옮길 (이) ● 山 : 메 (산) 우공이산의 뜻 우공은 어리석은 사람을 말합니다. 우공이산을 직역하면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긴다'는 뜻입니다. 사람의 힘만으로 커다란 산을 다른 곳에 옮기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는 일입니다. 이처럼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일을 벌이는 사람의 어리석음을 비꼬는 말로 생각되지만 이 고사의 유래를 알고 나면 우공이산의 뜻이 어리석음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우공이산의 유래 우공이산은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참고로 열자는 도가의 사상가입니다. 우공이산의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 2021. 7. 18. 이전 1 ···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