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0 장례식장 예절 알고 가세요! (상가집 조문 순서, 향 피우는 법, 절하는 법) 장례식장 예절, 상가집 조문 예절에 대해 간략하고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장례식장 방문이 처음이거나 어른들을 따라 조문한 경험만 있다면 장례식장 조문 예절이 익숙하지 않을 것입니다. 고인과 유가족들에 대한 예의가 어긋나지 않도록 조문 순서, 향 피우는 법, 상가집에서 절하는 법, 인사말들을 숙지하시고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가 많지 않은 사회 초년생이나 고등학생, 대학생의 경우 상가집을 방문하는 일이 많지 않습니다만,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연차가 쌓이고 나이가 들수록 상가집을 방문하는 일이 생각보다 많이 늘어납니다. 아래 설명하는 내용만 아셔도 상가집이나 장례식장에서 실수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장례식장 예절 (조문 순서와 절차) 장례식장을 방문하여 조문하는 절차나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장례.. 2023. 10. 26. 일거양득 뜻과 유래 (전체를 보는 눈, 경청하는 귀) 고사성어 일거양득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거양득은 한꺼번에 두 가지 이득을 보는 것을 뜻합니다. 이 고사성어는 춘추시대 노나라의 '변장자'라는 사람이 호랑이 두 마리를 한 번에 잡은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일거양득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와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알아볼까요? 일거양득 뜻과 한자풀이 일거양득의 한자풀이는 그림과 같습니다. 한자를 그대로 뜻을 풀어보면 한 번 들어서 두 가지를 얻었다는 뜻입니다. 돌을 한번 던져 두 마리 새를 잡았다는 일석이조와 같은 의미입니다. 일거양득은 노력이나 수고를 한 번 들여서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였을 때 주로 사용됩니다. 비상한 머리로 일을 계획하여 한 가지 방법으로 여러 일을 해결할 때도 이 사자성어를 쓰지만, 의도치 않게 어떤 행동이나 사건 하나가 .. 2023. 10. 17. 제사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 (제사 음식의 숨은 뜻) 이번에는 제사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제사상 차리는 법과 차례상 차리는 법을 쉽게 설명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사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 제사 음식에는 사용하면 안 되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천천히 확인하시고 제사상차림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제사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사 밥은 흰쌀밥을 놓는다. (잡곡은 금물) 2. 삼치, 갈치, 꽁치처럼 -치로 끝나는 생선은 놓지 않는다. (흔한 생선은 제사에 올리지 않는다.) 3. 복숭아처럼 털있는 과일은 놓지 않는다. (털있는 과일을 귀신이 싫어한다고 합니다.) 4. 고춧가루, 마늘, 후추 같은 향신료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런 향신료는 귀신이 싫어한답니다. 드라큘라가 마늘을 싫어하듯이... 2023. 9. 27. 제사 지내는 방법과 순서 (제사 지내는 시간) 제사 지내는 방법과 순서, 제사 지내는 시간에 대해 알아봅니다. 앞선 글에서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에 올리면 안되는 음식에 대해 이야기 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사를 지낼 때도 순서가 있고 방법이 있습니다. 조상들을 기리는 일이니 예절과 법도에 맞게 제사를 진행하면 더 좋을 듯 하여 간략히 적어봅니다. 제사 지내는 시간 일반적으로 제사를 지내는 시간은 조상이 돌아가신 날(기일) 0시(새벽)에 지냅니다. 하지만 바쁜 일상을 보내는 우리 세대의 경우, 새벽 시간에 제를 올리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기일의 저녁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가족들이 모이기 좋은 저녁 8시에서 10시 사이가 일반적입니다. 기일에 지내는 제사와 달리 명절에 지내는 차례의 경우에는 명절 날 오전시간에 .. 2023. 9. 27. 이전 1 ··· 5 6 7 8 9 10 11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