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0 인생을 즐기는 3가지 방법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을 읽고) 마흔셋, 파킨슨 병 진단을 받는다. 남들보다 열심히 살았다. 그런데 왜 자신에게 이런 시련이 찾아왔는지 원망스럽다. 침대에 누워 멍하니 천장만 바라본다. 그러나 계속 누워있는다고 바뀌는 건 아무것도 없다. 아직 할 수 있는 일이 많음을 깨닫고 절망에서 벗어나는 한 발짝을 뗀다. 그렇게 어제를 살았고, 오늘을 산다. 이 책은 정신과 전문의 김혜남 작가가 22년간 파킨슨병을 앓으며 얻은 인생 교훈을 담고 있다. 살면서 후회되는 일. 다시 인생을 살게 된다면 하고 싶은 일. 지금 가진 것에 만족하기. 감사하며 살아가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용감하게 살기. 즐겁고 행복한 삶 살아가기. 파킨슨 병은 건강한 몸을 앗아 갔지만 인생을 즐기며 살도록 만들었다. 건강했다면 모르고 지나갔을 사소한 일상에서 삶의 방향과.. 2023. 1. 8. 결자해지 유래와 뜻 (맺은 사람이 풀다) 결자해지는 맺은 사람이 그것을 푼다는 뜻이다. 쉽게 말해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해결해야 한다는 말이다. 모든 일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다. 어떤 행동을 하게 되면 그에 따른 결과가 따르기 마련이다. 여기서, 행동은 남이 아닌 자신이 직접 한 것이기 때문에 좋든 싫든 결과도 본인 책임이다. 나쁜 결과나 문제가 발생했다면 그 일을 해결하고 꼬인 매듭을 풀 수 있는 것은 그 원인 제공자뿐이다. 남이 나서서 도와줄 수도 있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매끄럽지 않게 일이 마무리될 수 있다. 그래서 원인 제공자가 책임을 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깔끔한 해결방법이다. 즉, 결자해지는 원인을 남에게서 찾지 말고 자신에게서 찾으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결자해지 유래 중국 전국시대에는 '전국 사군자'라 불.. 2022. 10. 1. 결초보은 (은혜는 죽어서도 갚는다.) 은혜를 갚는다는 뜻의 고사성어 결초보은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결초보은 뜻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풀을 엮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이다. 어떻게 풀을 엮어 은혜를 갚는다는 말일까? 결초보은 유래 결초보은에 담긴 이야기는 이렇다. 춘추 시대 진나라에 '위무자'라는 노인이 있었다. 그는 본처와 젊은 애첩을 두었다. 평소 건강했던 그였지만 갑작스러운 병으로 자리에 눕게 되었다. 죽음을 예감한 위무자는 아들 '위과'를 불러 말했다. "내가 죽거든 네 작은 어머니를 개가 시켜 드려라.” "예. 알겠습니다. 아버님." 유언을 남긴 이후 위무자의 병세는 날로 악화되어갔다. 위무자는 거의 죽을 지경에 이르게 되었을 때 아들 위과를 다시 불러 말했다. "나 혼자 묻히면 저승에서 쓸쓸하고 적적할 것 같다. 네 작은어머.. 2022. 8. 13. 죄와 벌 줄거리 요약 (오만한 사상이 부른 참극) 죄와 벌은 도스토예프스키의 문학작품이다. 줄거리만 대략 요약하면 살인범이 자수해서 광명 찾는 이야기다. 그러나 이렇게 한 줄 요약하고 기억 한 구석으로 치워 버릴 작품이 아니다. 각자 다른 사고방식을 가진 인물들의 갈등과 주인공의 내적 갈등을 집요하게 묘사했으며, 빈곤 속에서 처절하게 살아가는 하층민의 모습을 담고 있다.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프로필과 다른 작품 확인하기죄와 벌 줄거리1860년대 무더운 여름. 러시아 페테르부르크에 가난한 법학생 라스꼴리니꼬프가 있다. 라스꼴리니꼬프는 대중을 비범한 사람과 평범한 사람으로 분류한다. 세상을 변화시키는 쪽은 비범한 사람이다. 이들은 목적 달성을 위해 어떤 수단도 허용된다. 심지어 사람의 생명을 빼앗을 특권도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남들보다 뛰어난 지성을 가진.. 2022. 6. 1.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