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story54

거재두량 뜻과 유래 (오나라에는 인재가 많다!) 거재두량은 많은 양을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삼국지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위, 촉, 오로 나뉜 중국 삼국시대 당시 촉에 대항하기 위해 위나라와 오나라가 동맹을 맺는 과정에서 나온 말입니다. 거재두량의 유래와 뜻에 대해 알아봅니다. 거재두량 뜻과 한자풀이 거재두량의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수레에 싣고 두로 양을 잰다는 말입니다. 여기서 두는 부피를 재는 단위입니다. 흔히 우리는 말이라는 단위를 쓰는데 두와 말을 같은 말입니다. 말(두)은 곡식이나 액체 등의 부피를 잴 때 사용합니다. 한 말(두)은 한 되의 열 배 정도이며, 약 18리터 정도 되는 양입니다. 즉, 거재두량은 수량이 많아 하나씩 셀 수 없고 말(두)의 단위를 사용하여 세어야 할 정도로 많다는 뜻입니다. 거재두량은 수가 많음을 나타내.. 2023. 8. 3.
반골 뜻과 유래 (위연의 반란을 눈치 챈 제갈량) 반골이란 거꾸로 솟아 있는 뼈를 말합니다. 세상의 순리나 명령, 권력 따위에 순순히 따르지 않고 반항하는 기질을 가진 사람을 가리킬 때 자주 사용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삼국지연의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촉나라 재상 제갈량은 위연을 보고 반골의 상이라 하며 그를 깊이 믿지 않았습니다. 반골 뜻과 한자풀이 반골이란 뒤통수 목덜미 부분의 뼈가 튀어나온 것을 말합니다. 반골의 상을 가진 사람은 반란이나 배신을 잘한다고 전해 내려옵니다. 또 반항적인 사람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삼국지연의에서 위연은 반골의 상이었고 이를 알아본 제갈량은 후환을 막기 위해 그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유비가 만류하였습니다. 제갈량이 죽은 후 위연은 반란을 도모하였으나 이를 미리 대비한 제갈량의 계.. 2023. 7. 31.
화씨지벽 뜻과 유래 (진짜를 알아보는 능력, 진실을 보는 눈) 화씨지벽은 화씨의 옥구슬이라는 뜻입니다. 어디서도 볼 수 없는 귀한 옥을 왕들에게 바쳤지만 그 가치를 모르는 왕들은 도리어 벌을 내립니다. 고사성어 화씨지벽은 가치를 알아보는 능력의 중요성과 진실을 밝히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 보여줍니다. 화씨지벽에는 어떤 사연이 있을까요? 귀한 옥구슬에 담긴 화씨의 안타까운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목차 화씨지벽의 뜻 화씨지벽의 유래 화씨지벽의 교훈 화씨지벽 뜻과 한자풀이 이 고사성어의 뜻은 한자 그대로 풀면 화씨라는 사람의 옥구슬이라는 뜻입니다. 우연히 발견한 돌이 옥이라는 것을 알고 왕들에게 바치지만 인정받지 못합니다. 도리어 고초를 겪습니다. 하지만 끝내는 가치를 인정받게 됩니다. 진정한 가치를 보는 안목의 중요성과 진실을 밝히기 위해서는 인내가 필요하다는 것을 .. 2023. 7. 28.
계포일낙 뜻과 유래 (계포의 말 한마디는 천금과 같다.) 고사성어 계포일낙의 뜻과 유래를 알아볼까요? 계포일낙은 계포의 승낙이라는 뜻입니다. 계포라는 사람이 한 말은 그 무엇보다 신뢰가 간다는 말입니다. 즉, 한번 승낙하고 약속하면 반드시 지킨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계포가 도대체 어떤 사람이었기에 이런 말이 생겨났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목차 계포일락의 뜻과 한자풀이 계포일락의 유래 계포일락의 교훈 계포일낙의 뜻과 한자풀이 계포일락은 한자 그대로 계포의 한마디 승낙이라는 뜻입니다. 계포란 사람은 명성과 행실이 사람들에게 무한한 신뢰를 주었기 때문에 이 사람의 승낙은 천금과 같은 힘이 있었습니다. 즉, 계포일낙은 한번 한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계포일낙의 유래 계포일낙의 유래를 이야기하기 전에 초나라 장군 계포라는 사람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 2023.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