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story

24절기표와 절기별 날짜와 특징

by ⊂∵⊃⊆∵⊇∈∵∋ 2021. 8. 5.

24절기가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고 절기마다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 24절기표를 통해 한 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정리해 본다.

 

24절기의 개요와 특징

24절기는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간격으로 1년을 24 등분한 것이다. 태양의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한다. 또 여기서 황도란 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이 1년 동안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길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24절기는 1년을 24 등분한 것이다. 먼저 봄, 여름, 가을, 겨울을 크게 춘하추동으로 4 등분하고 난 다음 각 계절을 세부적으로 6 등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봄은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로 나눈다.

여름은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로 나눈다.

가을은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으로 나눈다.

겨울은 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으로 나눈다.

 

 

24절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초로 구분된 것이므로 양력 일자이다.

2. 24절기는 중국에서 기인한 것으로 황하 유역의 기상과 동식물의 변화 등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기후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3. 24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며 이는 농사에 많은 도움을 준다.

4. 한식, 단오, 삼복(초복, 중복, 말복), 칠석은 24절기가 아니다. 한식은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4월 5~6일경)이고, 단오는 음력 5월 5일이며, 초복은 하지(夏至) 후의 셋째 경일(庚日)이고 중복은 하지 뒤의 넷째 경일(庚日)이다. 그리고 말복은 입추가 지난 뒤의 첫 번째 경일(庚日)이다. 여기서 경일(庚日)이란 천간(天干 : 육십갑자의 위 단위를 이루는 요소.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이 경(庚)으로 된 날이다.

24절기표
24절기표

24절기별 날짜와 절기별 특징

계절별로 구분된 24절기의 날짜와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1. 봄

1-1. 입춘(立春)

입춘은 양력 2월 4일경으로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이다.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며 이날부터 봄이라고 한다. 이 시기 새해를 맞아 집을 청소하며 농기구를 손질하고 농사 준비를 한다. 입춘에는 입춘첩(立春帖)을 대문, 기둥, 대들보 등에 붙여 새해의 복을 기원하는 풍습이 있다. 이 시기에는 동풍이 불어오고 얼음이 녹으며, 겨울잠 자던 벌레들이 일어난다고 한다.

 

1-2. 우수(雨水)

우수는 양력 2월 19일경으로 24절기 중 두 번째 절기이다. 이 시기에는 날씨가 거의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또 수달이 물고기를 잡고,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초목에는 싹이 튼다고 한다.

 

1-3. 경칩(驚蟄)

경칩은 양력 3월 6일경으로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이다. 계칩(啓蟄)이라고도 불리는 경칩에는 동면하던 개구리가 깨어나는 시기로 잘 알려져 있다.

 

1-4. 춘분(春分)

춘분은 양력 3월 21일경으로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이다. 춘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이때는 겨울 동안 얼었던 땅이 녹는 시기이며 춥거나 덥지 않기 때문에 농사일하기에 적당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제비가 남쪽에서 오고 천둥소리가 울리고 번개가 친다는 이야기가 있다.

 

1-5. 청명(淸明)

청명은 양력 4월 5일경으로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이다. 청명 즈음부터 날이 풀리기 시작해 날씨가 화창해지므로 청명이라 한다. 오동나무 꽃이 피고 종다리가 나타나고 무지개가 보인다고 한다. 이 무렵은 바쁜 농사철이 시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일손이 부족했다 한다. 청명은 한식과 시기가 비슷하다.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차이가 없다’는 말처럼 청명과 한식은 겹치거나 하루 정도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한식에는 이름처럼 찬밥과 찬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1-6. 곡우(穀雨)

곡우는 양력 4월 20일경으로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이다. 곡우에는 봄비가 내리고 조기잡이가 잘 되고 나무는 물이 올라 그 수액을 약수로 먹기도 했다.

 

2. 여름

2-1. 입하(立夏)

입하는 양력 5월 6일경으로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이다. 입하를 여름의 시작으로 보았으며.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고 병충해 방지 및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농사일이 바빠지는 시기이다. 예부터 입하에는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왕과가 나온다고 한다.

 

2-2. 소만(小滿)

소만은 양력 5월 21일경으로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이다. 소만은 만물이 생장(生長)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가 있다. 이 시기는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베기가 한창인 시점이다. 소만에는 예부터 씀바귀가 고개를 내밀고 냉이가 누렇게 마르며 보리가 익는다고 하였다. 소만에는 냉잇국과 담백한 죽순이 맛있다.

 

2-3. 망종(芒種)

망종은 양력 6월 6일경으로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이다. 곡식의 씨를 뿌리기에 좋은 시기이다. 예부터 망종에는 사마귀가 생기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개똥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고 하였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처럼 보리베기를 마무리하는 시기이다.

 

2-4. 하지(夏至)

하지는 양력 6월 21일경으로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이다. 하지는 일 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하지에는 예부터 사슴의 뿔이 떨어지고, 매미가 울기 시작하며, 반하(半夏)의 알이 생긴다고 했다. 이 시기에 모내기를 마무리하며, 이쯤부터 장마가 시작된다.

 

2-5. 소서(小暑)

소서는 양력 7월 7일경으로 24절기 중 열한 번째 절기이다. 이 시기가 장마철이며, 김을 매거나 논밭 주변의 풀을 베어 퇴비를 만들어 둔다. 또한 보리를 베어내고 난 자리에 팥이나 콩을 심는다. 예부터 소서에는 더운 바람이 불고 귀뚜라미가 기어 다니며 매가 사나워진다고 하였다.

 

2-6. 대서(大暑)

대서는 양력 7월 23일경으로 24절기 중 열두 번째 절기이다. 대서는 중복 즈음으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심한 때이다. 예부터 흙이 습하고 무더워지며 장마가 끝나가는 시기이지만 때때로 큰 비가 내린다고 하였다.

 

 

3. 가을

3-1. 입추(立秋)

입추는 양력 8월 8일경으로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이다. 입추는 가을이 시작됨을 뜻한다. 예부터 이 시기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고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쓰르라미 (매 미과의 곤충)가 운다고 하였다. 태풍과 늦은 장마로 1년 농사를 망칠 수도 있는 시기이다.

 

3-2. 처서(處暑)

처서는 양력 8월 23일경으로 24절기 중 열네 번째 절기이다. 이 시기에는 더위가 지나가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처서 즈음에는 농사일이 추수 정도만 남는 시기이므로 농가가 조금 한가해진다. 예부터 이 시기는 매가 새를 잡고 천지에 푸나무를 말려 죽이는 쌀쌀한 가을 기운이 돌며 논에서는 곡식이 익는다고 하였다.

 

3-3. 백로(白露)

백로는 양력 9월 8일경으로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 절기이다. 이 시기는 가을에 접어들어 일조량이 많고 곡식이 여문다. 또 밤에는 기온이 크게 떨어져 풀잎에 이슬이 맺힌다. 예부터 백로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하였다.

 

3-4. 추분(秋分)

추분은 양력 9월 23일경으로 24절기 중 열여섯 번째 절기이다. 추분 이후에는 낮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고 밤의 길이가 길어진다. 이 시기는 추수하는 때이므로 백곡이 풍성하다.

 

3-5. 한로(寒露)

한로는 양력 10월 8일경으로 24절기 중 열일곱 번째 절기이다. 한로는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시기이다. 또한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서 서리로 변한다.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와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다.

3-6. 상강(霜降)

상강은 양력 10월 23일경으로 24절기 중 열여덟 번째 절기이다. 상강은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예부터 이 시기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초목이 누렇게 변하며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에 숨는다고 하였다.

 

4. 겨울

4-1. 입동(立冬)

입동은 양력 11월 7일경으로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이다. 입동은 겨울의 시작을 뜻한다. 예부터 물과 땅이 얼고 꿩은 드물어지고 조개가 잡힌다고 하였다.

 

4-2. 소설(小雪)

소설은 양력 11월 22일경으로 24절기 중 스무 번째 절기이다. 이 무렵이 되면 첫얼음이 얼기 시작하고 첫눈이 내린다. 즉 첫겨울의 징후가 보이는 시기로,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하늘과 땅이 막혀서 겨울이 된다고 하였다. 농사를 마치고 김장을 하는 시기이다.

 

4-3. 대설(大雪)

대설은 양력 12월 7일경으로 24절기 중 스물한 번째 절기이다. 대설은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이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24절기가 중국 지역을 기준으로 하므로 우리나라와 조금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도 반드시 눈이 많이 온다고 할 수는 없다. 예부터 대설에는 산 박쥐가 울지 않고 범이 교미하여 새끼를 치며 여지(荔枝)가 돋아난다고 하였다.

 

4-4. 동지(冬至)

동지는 양력 12월 22일경으로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이다. 동지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동짓날에는 귀신을 쫓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4-5. 소한(小寒)

소한은 양력 1월 6일경으로 24절기 중 스물세 번째 절기이다. 소한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춥다. 예부터 소한에는 기러기가 돌아가고 까치가 집을 짓기 시작하고 꿩이 운다라고 하였다.

 

4-6. 대한(大寒)

대한은 양력 1월 21일경으로 24절기 중 스물네 번째 절기이다. 대한은 이름에 따르면 가장 추운 한파를 뜻하지만 우리나라는 소한이 가장 춥다. 마지막 절기인 대한을 겨울을 매듭짓는 절기로 보았다.

 

 

지금까지 24절기의 각 절기별 특징과 날짜 등을 알아보았다. 24절기를 통해 옛사람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