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story

흰색 운동화 세탁 방법과 운동화 세제 베이킹소다 활용 운동화 빨기

by ⊂∵⊃⊆∵⊇∈∵∋ 2024. 5. 16.

비 맞아서 젖은 운동화에서 나는 냄새는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비 맞은 운동화는 세제를 풀고 세탁기에 돌려도 냄새가 잘 없어지지 않습니다. 오늘은 운동화 세탁 방법과 운동화를 빨 때 넣으면 좋은 탄산소다에 대해 알아봅니다.

 

 

장마철 신발 빨기
비 맞은 흰색 운동화 빨기
어떻게 빨면 운동화 냄새 안 날까?
어떤 운동화 세제를 사용할까?

 

젖은 운동화 세탁 방법

운동화는 잘 마르지도 않고 쾨쾨한 냄새가 납니다. 특히 장마철에는 운동화가 수시로 젖습니다. 아무리 꼼꼼하게 빨아도 냄새가 쉽게 없어지지 않습니다. 젖은 운동화는 손으로 만지면 손에도 냄새가 뱁니다.

 

이렇게 축축해진 운동화를 어떻게 빨아야 할까요?

 

운동화 세탁 방법

 

그냥 세탁기에 넣고 돌리지 마시고 다음 방법을 사용하세요.

운동화 세탁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동화 세탁 방법

  1. 운동화를 담을 리빙 박스나 김치통을 준비합니다.
  2. 4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을 준비합니다.
  3. 중성세제(일반세제) 1컵, 베이킹소다 1컵을 준비합니다.
  4. 중성세제와 베이킹소다를 물에 풀어줍니다.
  5. 세제를 푼 물에 운동화를 10분간 잠기도록 담가줍니다.
  6. 때 국물이 어느 정도 빠지면 운동화를 꺼냅니다.
  7. 운동화를 칫솔이나 솔로 문질러 남은 때를 제거합니다.
  8. 세척한 운동화 속에 수건을 꽉 넣어 물을 흡수합니다.
  9. 빨래망에 넣어 세탁기로 탈수합니다.
  10.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말립니다.

 

운동화가 들어갈 리빙박스나 김치통을 준비하고 4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을 담습니다. 물은 손으로 만졌을 때 뜨겁지 않은 정도가 좋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중성세제 1컵과 베이킹소다 1컵을 섞어 물에 풀어주고, 운동화를 담가둡니다.

 

 

10분 이상 담가두면 하얗던 물 색깔이 시커멓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운동화 때 국물이 어느 정도 빠졌다면 솔을 이용해서 구석구석 오염된 물질을 닦아줍니다. 생각보다 때가 잘 밀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척이 완료되었다면 운동화를 털어 물기를 제거하고 수건을 넣어서 물을 흡수해 줍니다. 그다음 물기를 빼기 위해 세탁기에 넣고 탈수합니다. 탈수가 끝나면 통풍이 잘되는 곳에 말려줍니다.

 

깨끗하게 빤 운동화에 코를 대고 냄새를 맡아보면 쉰내가 확연히 사라진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운동화 세제 베이킹 소다 사용

운동화 세탁할 때는 베이킹소다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베이킹소다는 약알칼리성(염기성)을 띱니다. 알칼리성 세제는 기름 성분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운동화에 묻은 발바닥 땀이나 사람 몸에서 나오는 유분을 제거하는데 탁월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베이킹소다 대신 과탄산소다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과탄산소다는 베이킹소다보다 강한 알칼리성을 띱니다. 강력한 성분 때문에 운동화가 망가질 수 있습니다. 종종 운동화 밑창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은 운동화 세탁 방법과 세탁할 때 사용하면 좋은 운동화 세제(베이킹소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장마철이나 갑작스러운 집중호우로 신발 젖는 일이 많습니다. 그만큼 꼬릿 한 발냄새를 맡아야 하는 일이 많아집니다. 운동화를 빨 때 베이킹소다를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운동화뿐만 아니라 빨래에서도 쉰내 나는 여름철. 빨래 쉰내 없게 빨래하는 법도 함께 알아보세요.

 

빨래 쉰내 제거 세탁 방법 (과탄산소다, 탄산소다, 식초, 구연산)

 

빨래 쉰내 제거 세탁 방법 (과탄산소다, 탄산소다, 식초, 구연산)

여름철 빨래 쉰내 때문에 고민이라면 이 글을 참고하세요. 후덥지근한 여름, 수건이나 옷에서 나는 냄새를 제거하는 세탁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시큼한 빨래 냄새 고민! 지금 바로 해결!빨

storytale.tistory.com

빨래 쉰내 많이 나는 옷 따로 있다! (친수성 섬유와 친유성 섬유)

 

빨래 쉰내 많이 나는 옷 따로 있다! (친수성 섬유와 친유성 섬유)

빨래 쉰내는 옷 재질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섬유는 친수성 섬유와 친유성 섬유로 구분됩니다. 이 성질에 따라 옷에 묻은 때가 잘 지워지지 않아서 빨래에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오늘은

storytale.tistory.com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