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story

섬유유연제 쓰지 마세요. 여름 빨래 쉰내 납니다.

by ⊂∵⊃⊆∵⊇∈∵∋ 2024. 5. 16.

여름철 빨래에서 냄새가 나면 섬유유연제를 조금 넣고 냄새를 제거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섬유유연제를 쓰면 빨래 쉰내가 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섬유유연제를 쓰면 빨래에서 쾨쾨한 냄새가 나는 원인에 대해 살펴봅니다.

 

 

여름철 빨래 악취 원인은 섬유유연제?
겨울철 빨래는 정전기 제거 위해 사용하기
헹굴 때는 구연산이나 식초 활용

 

빨래 냄새 원인은 섬유유연제?

섬유유연제는 섬유를 부드럽게 만들고 정전기를 방지합니다. 그리고 옷에 향기를 더합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되도록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빨래 쉰내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섬유는 현미경으로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수많은 구멍 사이에는 미생물이 서식합니다. 사람에게서 분비되는 기름이나 각질이 섬유에 묻으면 이것들은 미생물의 먹이가 됩니다. 여름철 높은 온도와 습도, 먹잇감은 미생물을 증식시켜 악취를 발생시킵니다.

 

빨래 쉰내 제거

 

섬유유연제는 섬유에 묻은 기름과 수분을 코팅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섬유 속에 증발하고 사라져야 할 수분들이 계속 머물게 되고 미생물 번식을 원활하게 합니다. 미생물이 내뿜은 대사물질은 악취를 만듭니다. 그로 인해 옷이나 수건에서 냄새가 납니다.

 

여름철에는 되도록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빨래의 꿉꿉한 냄새는 무엇으로 제거해야 할까요?

 

빨래 헹굴 때는 구연산, 식초 사용

여름철 빨래 냄새를 제거하려면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나 구연산을 넣고 헹궈주는 것이 좋습니다.

 

냄새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는 염기성입니다. 염기성을 중화시키려면 산성 성분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구연산과 식초가 산성을 띱니다.

 

빨래할 때 식초 사용

 

소주잔 반 컵 분량의 구연산과 식초를 헹굴 때 넣어주면 빨래 쉰내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세탁할 때는 탄산소다나 과탄산소다와 같은 염기성 세제를 사용하고 헹굴 때는 구연산이나 식초 같은 산성을 사용합니다.

 

반드시 식초는 헹굴 때 사용하세요. 세탁할 때 세제와 함께 식초를 사용하면 세척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식초는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식초(백식초, 양조식초)를 사용합니다. 첨가물이 들어간 사과식초나 현미식초는 사용 금지입니다. 첨가물이 세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구연산이나 식초는 섬유유연제와 비슷한 효과를 내므로 여름철 빨래에서 나는 냄새를 피하고 싶다면 사용해 보세요.

 

여름에는 빨래에서 나는 냄새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빨래 쉰내를 제거하는 올바른 세탁 방법과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베이킹소다, 과탄산소다, 탄산소다, 구연산 등의 사용법과 주의 사항에 대해서도 다음 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빨래 쉰내 제거 세탁 방법 (과탄산소다, 탄산소다, 식초, 구연산)

 

빨래 쉰내 제거 세탁 방법 (과탄산소다, 탄산소다, 식초, 구연산)

여름철 빨래 쉰내 때문에 고민이라면 이 글을 참고하세요. 후덥지근한 여름, 수건이나 옷에서 나는 냄새를 제거하는 세탁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시큼한 빨래 냄새 고민! 지금 바로 해결!빨

storytale.tistory.com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